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AC
- dvdrental
- 검색광고 캠페인
- Def
- google sa
- EXCEPT
- search ads
- 디지털 검색광고
- 양승화
- b2b 마케팅
- 숫자형
- pgAdmin
- 퍼포먼스 마케팅
- preprocessing
- 외장함수
- 티스토리챌린지
- 파이썬
- 데이터 전처리
- PYTHON
- 문자열 함수
- dbeaver
- ndarray
- GA4
- 오블완
- sql
- postgresql
- 머신러닝 입문 강좌 | TEAMLAB X Inflearn |
- inflearn
- 파이썬 코딩 무료 강의 (기본편) - 6시간 뒤면 여러분도 개발자가 될 수 있어요 [나도코딩]
- Pickle
Archives
- Today
- Total
Maron's DATA Log
[25-02-07] 경제/투자 스터디 - 미국 고용 보고서(Employment Report) 본문
주요 경제 지표
- 코스피: 2,521.92 (-0.58%)
- 코스닥: 742.90 (0.35%)
주요 원인
- 코스피 -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 미국 1월 고용보고서 발표를 앞둔 관망세로 인해 투자 심리 위축
- 의료정밀업, 전기가스업, 화학업 등 대부분 업종 하락, 차익 실현 매물 출현
- 삼성바오로직스는 주가 6.5% 상승 -> 시가 총액 3위
미국 고용 보고서(Employment Report)
미국 노동부 산하 **BLS(Bureau of Labor Statistics, 노동통계국)**가 매달 발표하는 미국 노동 시장의 핵심 지표.
주식·채권·외환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경제지표.
✅ 미국 고용 보고서 주요 지표
1. 비농업 고용(NFP, Non-Farm Payrolls)
- 농업을 제외한 전체 산업의 신규 고용자 수 변화를 나타냄
- 예상보다 증가 → 경제 호조, 금리 인상 가능성 ↑ → 주식 하락, 달러 강세
- 예상보다 감소 → 경기 둔화, 금리 인하 가능성 ↑ → 주식 상승, 달러 약세
2. 실업률(Unemployment Rate)
- 경제활동인구(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 대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사람의 비율
- 실업률 하락 → 노동시장 강세 → 연준 긴축 가능성 ↑ (금리 인상 지속)
- 실업률 상승 → 노동시장 둔화 → 연준 완화 가능성 ↑ (금리 인하 기대)
3. 평균 시간당 임금(Average Hourly Earnings)
- 임금 상승률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 임금 상승률 높음 → 물가 상승 압박, 금리 인상 가능성 ↑
- 임금 상승률 낮음 → 인플레이션 둔화, 금리 인하 가능성 ↑
4. 노동 참가율(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 비율
- 참가율 상승 → 경제 성장 가능성 ↑
- 참가율 하락 → 노동력 부족, 인플레이션 압박 ↑
✅ 고용보고서 발표 일정
📅 매월 첫 번째 금요일(한국시간 오후 10시 30분 또는 밤 9시 30분) 발표
📌 발표 기관: 미국 노동부(BLS)
✅ 고용보고서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 주식시장(Stock Market)
- 고용 강세(예상보다 높은 NFP & 임금 상승) → 금리 인상 우려로 주가 하락
- 고용 둔화(예상보다 낮은 NFP & 실업률 상승) →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 채권시장(Bond Market)
- 고용 강세 → 국채 금리 상승 (채권 가격 하락)
- 고용 둔화 → 국채 금리 하락 (채권 가격 상승)
🔹 외환시장(Forex Market)
- 고용 강세 → 미국 달러 강세 (USD 상승)
- 고용 둔화 → 미국 달러 약세 (USD 하락)
🔹 금(Gold)
- 고용 강세 → 금 가격 하락 (달러 강세, 금리 인상 기대감)
- 고용 둔화 → 금 가격 상승 (달러 약세, 금리 인하 기대감)
✅ 투자 전략 요약
📈 NFP 강세 예상 → 달러 롱(매수) / 주식·금 숏(매도)
📉 NFP 약세 예상 → 달러 숏(매도) / 주식·금 롱(매수)
📌 고용보고서 이후 시장 방향은 연준(Fed)의 정책 스탠스에 따라 다를 수 있음
'Investment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2-06] 경제/투자 스터디 - ISA, IRP 투자 (0) | 2025.02.06 |
---|---|
[25-02-05] 경제/투자 스터디 - 금 투자 (0) | 2025.02.05 |
[25-02-04] 경제/투자 스터디 - VIX 지수 (0) | 2025.02.04 |
[25-02-03] 경제/투자 스터디 - 미국의 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부과 (0) | 2025.02.03 |
[24-01-31] 경제/투자 스터디 (0) | 2025.01.3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