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on's DATA Log

[25-02-07] 경제/투자 스터디 - 미국 고용 보고서(Employment Report) 본문

Investment/Study

[25-02-07] 경제/투자 스터디 - 미국 고용 보고서(Employment Report)

maron2ee 2025. 2. 7. 17:25

주요 경제 지표

  • 코스피: 2,521.92 (-0.58%)
  • 코스닥: 742.90 (0.35%)

 

주요 원인

  • 코스피 -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 미국 1월 고용보고서 발표를 앞둔 관망세로 인해 투자 심리 위축
  • 의료정밀업, 전기가스업, 화학업 등 대부분 업종 하락, 차익 실현 매물 출현
  • 삼성바오로직스는 주가 6.5% 상승 -> 시가 총액 3위

미국 고용 보고서(Employment Report)

미국 노동부 산하 **BLS(Bureau of Labor Statistics, 노동통계국)**가 매달 발표하는 미국 노동 시장의 핵심 지표.
주식·채권·외환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경제지표.

 

✅ 미국 고용 보고서 주요 지표

1. 비농업 고용(NFP, Non-Farm Payrolls)

  • 농업을 제외한 전체 산업의 신규 고용자 수 변화를 나타냄
  • 예상보다 증가 → 경제 호조, 금리 인상 가능성 ↑ → 주식 하락, 달러 강세
  • 예상보다 감소 → 경기 둔화, 금리 인하 가능성 ↑ → 주식 상승, 달러 약세

2. 실업률(Unemployment Rate)

  • 경제활동인구(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 대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사람의 비율
  • 실업률 하락 → 노동시장 강세 → 연준 긴축 가능성 ↑ (금리 인상 지속)
  • 실업률 상승 → 노동시장 둔화 → 연준 완화 가능성 ↑ (금리 인하 기대)

3. 평균 시간당 임금(Average Hourly Earnings)

  • 임금 상승률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 임금 상승률 높음 → 물가 상승 압박, 금리 인상 가능성 ↑
  • 임금 상승률 낮음 → 인플레이션 둔화, 금리 인하 가능성 ↑

4. 노동 참가율(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 비율
  • 참가율 상승 → 경제 성장 가능성 ↑
  • 참가율 하락 → 노동력 부족, 인플레이션 압박 ↑

 

✅ 고용보고서 발표 일정

📅 매월 첫 번째 금요일(한국시간 오후 10시 30분 또는 밤 9시 30분) 발표
📌 발표 기관:
미국 노동부(BLS)

 

✅ 고용보고서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 주식시장(Stock Market)

  • 고용 강세(예상보다 높은 NFP & 임금 상승) → 금리 인상 우려로 주가 하락
  • 고용 둔화(예상보다 낮은 NFP & 실업률 상승) →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 채권시장(Bond Market)

  • 고용 강세 → 국채 금리 상승 (채권 가격 하락)
  • 고용 둔화 → 국채 금리 하락 (채권 가격 상승)

🔹 외환시장(Forex Market)

  • 고용 강세 → 미국 달러 강세 (USD 상승)
  • 고용 둔화 → 미국 달러 약세 (USD 하락)

🔹 금(Gold)

  • 고용 강세 → 금 가격 하락 (달러 강세, 금리 인상 기대감)
  • 고용 둔화 → 금 가격 상승 (달러 약세, 금리 인하 기대감)

 

✅ 투자 전략 요약

📈 NFP 강세 예상 → 달러 롱(매수) / 주식·금 숏(매도)
📉
NFP 약세 예상 → 달러 숏(매도) / 주식·금 롱(매수)

📌 고용보고서 이후 시장 방향은 연준(Fed)의 정책 스탠스에 따라 다를 수 있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