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on's DATA Log

[24-11-15] 매매로그 - 우크라이나 재건주(SG, 에스와이스틸텍, 다산네트웍스) 본문

Investment/분석 일지

[24-11-15] 매매로그 - 우크라이나 재건주(SG, 에스와이스틸텍, 다산네트웍스)

maron2ee 2024. 11. 16. 00:26
N 종목 현재가 테마/특징주 등락률 거래량 거래대금 시가총액
1 SG 3,745 우크라이나 재건주 +24.01% 64,661,602 230,894 3,534
2 휴마시스 1,680 리튬광산 광업권 취득 +8.88% 29,357,899 51,222 2,174
3 휴림로봇 1,520   -3.25% 24,453,822 39,126 1,666
4 에스와이 4,755 OSC 전문자재기업
코오롱글로벌과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을 위한 업무협약 채결
+15.55% 23,227,961 111,162 2,326
5 에스와이스틸텍 8,190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기업 모집 소식 +30.00% 21,374,612 154,559 2,507
6 원익홀딩스 2,605 자회사 원익로보틱스 자체개발 로봇 핸드 '알레그로 핸드 V5' 공식 출시, 메타와 협력해 촉각 센싱 개발, 상용화 예정 소식 +13.76% 20,737,608 56,882 2,012
7 다산네트웍스 4,320 우크라이나 재건주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22.90% 17,033,302 69,721 1,707
8 현대에버다임 10,190 우크라이나 재건주
건설 장비 제조 판매, 토목공사 사업
+7.49% 16,607,283 174,179 1,826
9 디와이디 716   +14.38% 15,725,435 10,754 562
10 신한제15호스팩 2,000   0.00% 15,511,877 34,215 87
11 아주IB투자 3,090 스페이스X 지분 보유 소식 상한가 11.13~14 -9.52% 15,329,422 48,010 3,737
12 로보로보 4,200 일론머스크 >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기대감
로봇, 부수제품, 연구개발, 제조
+3.83% 10,593,711 48,885 855
13 동국알앤에스 2,510   +3.29% 9,972,039 27,545 462
14 경남제약 840   +8.11% 8,993,642 8,007 593
15 쓰리빌리언 3,290   -19.76% 8,824,750 31,711 1,034
16 유진로봇 6,470 일론머스크 >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기대감
지능형 서비스 로봇 판매, 제조
+13.51% 8,160,802 52,745 2,427
17 희림 6,250 우크라이나 재건주
현지 레퍼런스 보유 > 수혜 기대감
+5.93% 8,081,285 51,285 870
18 폴라리스오피스 5,400   +8.32% 8,045,287 43,356 2,685
19 한컴위드 3,000   -2.91% 7,982,101 24,820 847
20 노브랜드 16,720 자사주 소각, 매입 소식 > 주가 가치 상승 기대, 신뢰 제고 +9.93% 7,833,499 133,669 1,518
21 LK삼양 3,205   -4.90% 7,508,008 23,438 1,626
22 비트나인 2,250   +29.83% 7,461,270 15,888 482
23 국영지앤엠 2,120   +24.56% 7,420,978 14,375 740
24 티플랙스 2,920   +0.52% 7,412,907 23,685 709
25 폴라리스AI 2,160   -3.57% 7,107,962 15,674 1,562
26 셀리드 5,430   +3.82% 6,673,266 37,572 1,146
27 이화공영 3,090   -0.32% 6,437,364 19,350 612
28 중앙첨단소재 8,560 리튬 테마주 +0.12% 5,834,371 46,918 8,557
29 미래에셋벤처투자 5,850   -14.47% 5,641,073 34,041 3,108
30 우리기술투자 9,990 가상화폐 관련주 -2.15% 5,562,804 55,139 8,392

 

SG

  • 테마: 우크라이나 재건주
  • 상승 요인: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과 관련해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SG는 도로 복구 및 건설 자재 공급에 강점을 가진 기업. 우크라이나에서 본격적으로 재건 사업이 시작되면서 대규모 계약 수혜 기대감이 주가를 상승시킴. 거래량은 64,661,602주, 거래대금은 230,894백만 원을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음
  • 성장 가능성: 전쟁 이후 우크라이나의 도로 및 인프라 재건 사업은 1,000조 원 규모 이상으로 추정되며, SG는 아스콘 제조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혜가 예상됨. 특히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 가능성도 열려 있어 장기적인 매출 확대와 글로벌 성장 가능성을 보유

 

휴마시스

  • 테마: 리튬 광산 개발
  • 상승 요인: 짐바브웨에서 리튬 광산 광업권을 확보하면서 전기차 및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산업의 핵심 소재인 리튬 공급망에 참여. 리튬 광산 개발 본격화 기대감으로 거래량은 29,357,899주, 거래대금은 51,222백만 원을 기록. 이슈화된 리튬 공급 부족 사태와 맞물려 투자자들의 관심이 증가
  • 성장 가능성: 글로벌 전기차 시장과 에너지 전환 추세로 인해 리튬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휴마시스는 리튬 광산 개발을 통해 안정적인 리튬 공급망을 구축하고 장기적인 매출 성장과 원자재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가 예상

 

에스와이스틸텍

  • 테마: 우크라이나 재건주, 철강 건자재
  • 상승 요인: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과 관련하여 철강 및 건자재 공급 기대감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음. 특히 우크라이나 재건 프로젝트 규모가 1,000조 원 이상으로 추산되면서 주요 수혜 기업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음. 거래량은 21,374,612주, 거래대금은 154,559백만 원을 기록하며, 상한가(+30.00%)를 기록
  • 성장 가능성: 글로벌 건설 자재 및 철강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재건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해외 시장으로의 확장 가능성이 높음. 기존 철강 제품의 기술력과 해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수익성 개선과 장기적인 매출 성장 가능성이 기대

 

다산네트웍스

  • 테마: 우크라이나 재건주, 네트워크 인프라
  • 상승 요인: 우크라이나 네트워크 인프라 복구와 관련된 협력 소식으로 투자자들의 관심 집중. 네트워크 장비 및 솔루션 제공 업체로서 전쟁 이후 디지털 인프라 복구 및 현대화 프로젝트의 수혜 기대. 거래량은 17,033,302주, 거래대금은 69,721백만 원을 기록하며 22.90% 상승
  • 성장 가능성: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5G 및 디지털 네트워크 확장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산네트웍스는 관련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디지털 인프라 현대화와 스마트 시티 구축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장기적 매출 성장 가능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성 분석 

  1. 사업 규모
    • 우크라이나 재건 비용: 세계은행, 유럽연합, 우크라이나 정부는 재건 비용을 약 4,110억 달러(약 550조 원)로 추정.
    • 주요 재건 분야:
      • 인프라: 도로, 철도, 통신망 등 교통 및 네트워크 복구에 약 1,200억 달러 예상.
      • 건축: 주거 및 상업 건물 재건에 약 500억 달러 필요.
      • 에너지: 원자력, 태양광 발전소 등 복구 및 신규 건설에 약 300억 달러 투자.

2. 주요 기여 기업과 시장 기회

  • 한국 기업 참여 가능성: 한국은 건설, 철강, 에너지 및 IT 네트워크 기술력이 강점으로,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 확보 가능.
  • 관련 업종:
    • 철강 및 건설재료: 에스와이스틸텍, 현대에버다임 등 국내 철강 및 건설재료 기업의 매출 증대 가능성.
    • 네트워크 및 IT 인프라: 다산네트웍스 같은 네트워크 장비 기업들이 통신 복구 및 IT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에서 수혜 예상.
    • 에너지 복구: 지투파워와 같은 에너지 관련 기업들은 태양광, 원자력 등의 재건 프로젝트에서 핵심 역할 수행 가능.

3. 경제적 수익성

  • 재건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예상 수익률:
    • 철강 및 건설재료: 관련 프로젝트의 평균 영업 이익률 약 15% 추정.
    • 에너지 프로젝트: 장기 계약(10~20년) 기반으로 매출 안정성 확보 가능.
    • IT 네트워크 인프라: 통신 복구 및 관리 계약으로 평균 이익률 20% 이상 기대.

4. 국제 지원과 재정적 안정성

  • 국제 금융 지원: G7 국가와 IMF는 약 1,00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해 우크라이나 재건을 지원할 계획.
  • 현지 수요 증가: 도시 및 산업 복구로 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전망.

5. 리스크 요인

  • 정치적 불확실성: 전쟁 지속 여부 및 국제 외교 상황 변화.
  • 자금 집행 속도: 대규모 국제 자금이 얼마나 빠르게 조달되고 활용될 수 있을지 변수.
  • 원자재 가격 변동성: 철강, 에너지 등의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 시 프로젝트 수익성 감소 가능성.

https://finance.naver.com/sise/sise_group_detail.naver?type=theme&no=51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