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on's DATA Log

[24-12-27] 경제/투자 스터디 - 미국 관세 인상 본문

Investment/Study

[24-12-27] 경제/투자 스터디 - 미국 관세 인상

maron2ee 2024. 12. 28. 08:44

2024.12.27 (FRI)

주요 경제 지표

  • 코스피: 2,404.77p (-1.02%)
  • 코스닥: 665.97p (-1.43%)
  • 다우지수: 43,325.80p (0.07%)
  • 나스닥: 20,020,36p (-0.05%)
  • S&P500: 6,037.59p (-0.04%)

 

주요 원인

  • 외국인과 기관 매도세 주도
  • 야당 한덕수 대통령 대행을 탄핵 가결, 정치적 혼란 가중, 국내 정치 리스크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과 원화 약세 악순환 초래
  •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상승, 대부분 업종은 하락, 특히, 철강금속업 (-6.86%), 비금속광물업 (-4.81%) 크게 하락, 한국 아연은 주주총회를 앞두고 지속되는 경영 분쟁이 심화됨에 따라 15.8% 급락, 포스코 홀딩스는 1% 하락, 바이오 제약 주식은 최악의 실적 보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0.1% 하락, 셀트리온은 자사주 매입 발표에도 불구하고 5.5% 하락
  • 미국 노동시장 최근 지표 실업 상태에서 재취업 어려워지고 있음 > 주간 실업지표 영향으로 달러 강세 심화

관세

외국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부과되는 세금

 

관세 인상 목적

  • 자국 산업 보호
  • 특정 국가 무역 관행에 대해 경제적 압박
  • 무역 적자 해소 > 정부 수입 증대

 

관세 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달러 강세, 채권 금리 상승

관세 인상 무역갈등 확산 -> 안전자산 선호 -> 달러 가치 상승

 

달러 약세, 채권 금리 하락

관세 정책 미국 실물경제 부담 가중 -> 경제 성장률 급락 -> 미국 금리인하 가속

 

관세 인상과 물가(인플레이션)

  • 관세 인상은 수입품 가격을 높여 소비자 물가지수(CPI) 상승을 초래.
  • 물가 상승은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연준(Fed)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높임.

*리쇼어링(Reshoring): 해외에 위치한 미국 기업 공장의 국내 복귀를 유도. (제조업)

 


미국 관세 인상의 주요 사례

1) 중국과의 무역 전쟁 (2018~2019)

  •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지적 재산권 침해, 기술 강제 이전)을 이유로 대규모 관세를 부과.
  • 관세 적용 범위:
    •  3,6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관세 부과.
    • 초기에는 공산품(기계, 전자부품)에 초점, 이후 소비재(의류, 가전제품)로 확대.
  • 중국의 보복 관세:
    • 미국산 농산물(대두, 옥수수 등)과 자동차에 높은 관세를 부과.

2)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2018)

  • 트럼프 행정부는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 관세를 부과.
  • 주요 대상: 중국, 유럽연합, 캐나다, 멕시코, 한국 등.
  • 목표: 미국 철강 산업 보호.

3) 유럽연합(EU)과의 관세 분쟁

  • 항공기 보조금 분쟁:
    • 미국은 유럽연합(EU)이 에어버스(Airbus)에 불법 보조금을 지급했다고 주장하며, 와인, 치즈, 항공기 부품 등 다양한 상품에 관세 부과.
  • 디지털세 논란:
    • 유럽연합 국가들이 미국 빅테크 기업(예: Google, Amazon)에 디지털세를 도입하자, 미국이 이에 대한 보복 관세를 검토.

4) 멕시코 관세 위협 (2019)

  • 트럼프 행정부는 불법 이민 문제 해결을 압박하기 위해 멕시코산 제품에 관세 부과를 위협.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