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on's DATA Log

금리 본문

Investment/Study

금리

maron2ee 2024. 12. 21. 00:06

금리

: 돈을 빌려주거나 빌릴 때 발생하는 이자의 비율

 

1. 금리의 정의

  • 금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
  • 보통 연간 기준으로 % 단위로 표시.
  • 예: 금리가 5% → 100만원 빌릴 경우 1년 뒤 5만원 이자 

 

2. 금리의 종류

1) 기준금리

  • 중앙은행(예: 한국은행, 연방준비제도)이 설정하는 금리로, 시장 전체의 금리에 가장 큰 영향.
  • 역할:
    • 은행 간 대출 이자율을 결정.
    •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을 조절하는 정책 도구로 사용.

2) 대출 금리

  • 개인이나 기업이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
  • 예: 주택담보대출 금리, 신용대출 금리

3) 예금 금리

  • 은행에 돈을 맡기면 지급받는 이자의 비율.
  • 예: 정기예금 금리

4) 시장 금리

  • 국채, 회사채 등 금융시장에서 결정되는 금리.
  • 예: 10년 만기 국채 금리

5) 실질 금리

  •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한 금리.

 

3. 금리가 중요한 이유

1) 경제 활동의 조절

  • 금리가 낮으면:
    • 돈을 빌리기가 쉬워져 소비와 투자 증가
    •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이 낮아져 경제 성장이 촉진
  • 금리가 높으면:
    • 돈을 빌리는 비용이 증가해 소비와 투자가 감소
    • 경제 과열이나 인플레이션 억제, 물가 안정화

2) 개인의 재정

  • 대출 금리와 예금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
    • 금리 상승 → 대출 이자 부담 증가, 예금 이자 수익 증가
    • 금리 하락 → 대출 이자 부담 감소, 예금 이자 수익 감소

3) 금융시장

  •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 가격에 큰 영향.
    • 금리 상승 → 채권 금리 상승, 주식 및 부동산 시장 약세 (자산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
    • 금리 하락 → 채권 금리 하락, 주식 및 부동산 시장 강세 (자산 가격 상승하는 경향)

 

4. 금리 변화의 영향

1) 개인

  • 금리 인상:
    • 대출 이자 부담 증가 → 소비 감소
    • 예금 이자 수익 증가 → 저축 증가
  • 금리 인하:
    • 대출 비용 감소 → 소비 증가
    • 예금 이자 수익 감소 → 저축 감소

2) 기업

  • 금리 인상:
    • 대출 비용 증가 → 투자 감소
    • 이익 줄어들 가능성
  • 금리 인하:
    • 대출 비용 감소 → 투자 증가
    • 이익 증가 가능성

 

3) 국가 경제

  • 금리는 경기 부양 또는 억제 수단으로 활용.
    • 금리 인상 → 인플레이션 억제, 경제 성장 둔화 
    • 금리 인하 → 경제 성장 촉진,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

 

5. 금리 결정 방법

  • 중앙은행의 정책: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설정하여 시장 금리에 영향.
    • 경제 성장 둔화 → 금리 인하
    • 인플레이션 상승  → 금리 인상 
  • 시장 요인:
    • 경제 성장률
    • 물가 상승률 (인플레이션)
    • 국제 경제 상황 (예: 미국 금리 정책)

 

6. 금리와 투자

  • 금리가 오르면:
    • 채권 수익률 상승 → 채권 매력 증가.
    • 주식 시장에는 부정적 영향.
  • 금리가 내리면:
    • 채권 수익률 하락 → 채권 매력 감소.
    • 주식 시장에는 긍정적 영향.

1. 금리와 주식의 관계

1) 금리가 상승하면 주가에 부정적

  • 설명
    • 금리가 상승하면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여 기업의 이익 감소.
    • 채권 등 안전자산의 수익률이 높아져 주식의 매력 감소.
  • 영향:
    • 기업의 비용 증가: 대출 이자 부담 증가로 투자와 경영 비용이 상승.
    • 소비 감소: 소비자들의 대출 비용 증가로 소비 여력이 줄어듦.
    • 주식 시장에서 자금 유출: 투자자들이 주식에서 채권으로 자금을 이동.

 

2) 금리가 하락하면 주가에 긍정적

  • 설명:
    • 금리가 하락하면 자금 조달 비용이 낮아져 기업의 이익 증가
    • 채권 수익률이 낮아져 주식의 매력 상승
  • 영향:
    • 기업의 비용 감소: 대출 이자 부담 감소로 투자와 경영 비용이 감소.
    • 소비 증가: 소비자들의 대출 비용이 줄어들어 소비 여력이 증가.
    • 주식 시장에서 자금 유입: 채권의 매력이 줄어들면서 주식으로 자금 이동.

 

2. 금리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1) 기업 실적

  •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의 대출 비용이 증가해 순이익이 감소.
  • 금리가 하락하면 기업의 대출 비용이 감소해 순이익이 증가.

2) 투자자 심리

  • 금리가 상승하면 위험자산(주식) 대신 안전자산(채권, 예금)으로 투자 자금이 이동.
  • 금리가 하락하면 투자자들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며 주식에 더 많은 자금을 투자.

3) 성장주 vs 가치주

  • 성장주: 금리 변동에 더 민감.
  • 가치주: 금리 변화의 영향을 덜 받으며, 배당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종목들이 금리 상승기에 선호.

4) 특정 업종

금리 상승기:

  • 은행, 금융업: 예대마진 증가로 긍정적.
  • 필수 소비재: 방어적 특성으로 안정적.

금리 하락기:

  • 기술주: 자금 조달 비용 감소로 긍정적.
  • 소비재, 유통: 소비 증가로 수혜.

 

3. 금리 변화와 주식 시장 사례

1) 금리 상승기

  • 2022년: 미국 연준(Fed)이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
    •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 하락.
    • 은행과 에너지 업종은 상대적으로 선방.

2) 금리 하락기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연준이 금리를 거의 0%로 인하.
    •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 하락.
    • 은행과 에너지 업종은 상대적으로 선방.

 

4. 금리와 주식 투자 전략

1) 금리 상승기

  • 방어적 투자
    • 필수 소비재, 헬스케어, 유틸리티 같은 안정적인 업종에 투자.
    • 은행, 보험 등 금융업종 선호.
  • 채권 투자
    •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 주식보다 채권이 더 매력적일 수 있음.

2) 금리 하락기

  • 공격적 투자
    • 기술주와 성장주에 투자.
    • 소비재, 유통 등 경기 민감 업종.
  • 고배당주:
    • 금리 하락 시 채권 수익률이 낮아지면서 고배당주의 매력 상승.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