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Study
네 마녀의 날 (Quadruple Witching Day)
maron2ee
2024. 12. 12. 23:31
네 마녀의 날 (Quadruple Witching Day)
미국 주식시장에서 "마녀의 날"(Quadruple Witching Day)은 특정 분기별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중요한 거래일로, 선물과 옵션 등 파생상품의 만기가 겹치는 날. 네 가지 파생상품의 만기일이 동시에 발생해 거래량이 폭증하고 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모습이 마치 "마녀가 활동하는 것처럼 혼란스러운 날"이라는 비유에서 유래.
발생 시기
- 매년 3월, 6월, 9월, 12월 셋째 주 금요일
주요 만기 상품
1. 주가지수 선물(Index Futures):
- 코스피200, S&P500 등 주가지수를 기반으로 한 선물 계약.
- 투자자들이 특정 시점에 특정 가격으로 주가지수를 거래.
2. 주가지수 옵션(Index Options):
- 주가지수의 향후 가격 변동에 대해 투자자들이 옵션을 매매.
3. 개별 주식 옵션(Stock Options):
- 개별 주식의 향후 가격 변동에 대해 옵션을 매매.
4. 개별 주식 선물(Stock Futures):
- 개별 주식에 대한 선물 계약.
네 마녀의 날 특징
1. 거래량 급증:
- 투자자들이 만기일에 포지션을 청산하거나 롤오버(다음 만기 계약으로 이동)하면서 대규모 매매가 발생.
2. 시장 변동성 증가:
- 파생상품 거래로 인해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음.
- 종가 결정 과정에서 특히 변동성이 큼.
3. 시장 왜곡:
- 파생상품 만기에 특정 가격대(행사가격)를 중심으로 트레이딩이 집중되면서 시장 가격이 일시적으로 왜곡될 수 있음.
4. 알고리즘 매매 증가:
- 네 마녀의 날은 프로그램 매매와 알고리즘 트레이딩의 활동이 급격히 증가하는 날로도 알려져 있음.
네 마녀의 날이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1. 단기적 영향:
- 거래량 폭증: 파생상품과 관련된 포지션 조정으로 인해 거래량 급증. 투자자들이 대규모 포지션 청산 또는 롤오버를 진행.
- 주가 변동성 확대: 투자자와 트레이더들이 만기일 전후에 포지션을 청산하거나 조정하면서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특히 대형주와 지수 연계 종목에서 급등락이 나타날 가능성.
2. 장기적 영향:
- 네 마녀의 날 이후에는 거래량이 줄어들고 변동성이 안정화되는 경향.
- 시장 방향성은 네 마녀의 날 자체보다는 경제 지표나 기업 실적 같은 근본적인 요인에 따라 결정됨. 주가가 특정 방향으로 큰 움직임을 보이기보다는, 기술적 요인과 관련된 일시적인 변동성이 두드러지는 경우가 많음.
네 마녀의 날 투자 전략
1. 단기 투자자:
- 네 마녀의 날의 변동성을 활용해 단기 매매(스캘핑, 데이 트레이딩)를 시도.
- 변동성이 심한 구간을 조심하면서도 수익 기회를 포착.
2. 장기 투자자:
- 네 마녀의 날 동안의 변동성을 무시하고, 장기적인 투자 목표를 유지.
- 주가의 일시적인 왜곡에 흔들리지 않음.
3. 헤지펀드 및 기관:
- 만기일 전후에 포지션을 조정하거나 리밸런싱(자산 재조정)을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