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24-11-01] 매매로그 - 비만약 위고비 관련 테마주 (유비케어)
maron2ee
2024. 11. 1. 23:57
N | 종목 | 현재가 | 테마/키워드 |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 | 시가총액 |
1 | 우리바이오 | 4,005 | 해리스 주-대마초 개혁 적극 지지 해리스 사전투표 압승 의료용 대마 관련 연구 개발 |
+14.76% | 53,490,676 | 214,447 | 1,941 |
5 | 유비케어 | 4,540 | 품귀 대란 비만약 위고비 대량 물량 확보 온라인 유통 솔루션을 통해 여러 의료기관 지원 |
+19.16% | 18,578,967 | 85,016 | 2,370 |
6 | 루미르 | 10,100 | 방산혁신기업 과제 선정 > 현존 세계최고 수준 초고해상도 인공위성 영상 레이다 개발 | +23.62% | 17,112,053 | 165,878 | 1,733 |
8 | 탑런토탈솔루션 | 13,740 | 전자부품 ODM 전문기업 상장 첫날 |
-23.67% | 13,883,070 | 221,150 | 2,689 |
10 | 나노엔텍 | 3,990 | 노보노디스크(글로벌 제약사)의 위고비(비만, 당뇨 치료제) 생산 맡고 있는 써머피셔의 OEM 파트너 현장진단 의료기기, 연구기기 제조, 판매 |
+3.64% | 12,416,584 | 52,469 | 1,281 |
14 | 에이럭스 | 9,880 | 에듀테크 기반 드론, 로봇 제조 상장 첫날 |
-38.25% | 9,740,137 | 112,138 | 1,308 |
15 | 네이처셀 | 16,600 | 미국 식품의약국(FDA) - 첨단재생의료치료제(RMAT) 지정 중증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 기반 치료제 |
-24.03% | 8,725,735 | 159,641 | 10,683 |
19 | HPSP | 33,100 | 반도체 장비사 경쟁사 예스티와 특허 소송 승소 |
+7.64% | 7,187,375 | 248,916 | 27,451 |
24 | 성우 | 28,600 | 2차전지 부품 제조, 판매 애플, 테슬라에 제품 공급 LG에너지솔루션 4680 톰캡어셈블리 독점 공급 확정 |
+2.14% | 6,387,686 | 183,674 | 4,303 |
33 | |||||||
35 | |||||||
36 | |||||||
40 | 에이디테크놀로지 | 19,020 | 삼성전자, ARM, 리벨리온과 차세대 AI CPU 칩렛 플랫폼 개발 중 | +5.84% | 3,927,174 | 77,734 | 2,556 |
49 | 주성엔지니어링 | 32,700 | 반도체, 디스플레이 3분기 호실적 < 중국 수출 호조 |
+5.48% | 3,419,422 | 111,196 | 15,457 |
우리바이오
- 테마: 의료용 대마초, 바이오헬스
- 상승 요인: 미국 부통령 카멀라 해리스의 대마초 개혁 지지 발언과 사전투표 압승 소식으로 의료용 대마초 관련 연구 개발을 진행하는 우리바이오에 대한 관심이 증가. 미국 내 대마 규제 완화 움직임과 맞물려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
- 성장 가능성: 의료용 대마초에 대한 글로벌 규제 완화 추세와 바이오헬스 산업의 성장으로 관련 제품 및 연구 개발에 대한 수요 증가 예상
유비케어
- 테마: 의료 IT 솔루션, 비만 치료제 유통
- 상승 요인: 품귀 현상을 보이는 비만 치료제 '위고비'의 대량 물량 확보와 이를 여러 의료기관에 지원하는 온라인 유통 솔루션 제공
- 성장 가능성: 비만 치료제에 대한 수요 증가와 의료 IT 솔루션 시장의 확대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 기대
네이처셀
- 테마: 줄기세포 치료제, 바이오 의약품
- 상승 요인: 중증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조인트스템'이 미국 FDA로부터 첨단재생의료치료제(RMAT) 지정을 받아 임상 개발 가속화 기대감이 상승 요인. 또한 줄기세포 배양액을 활용한 화장품 사업에서 매출 증가로 실적 개선
- 성장 가능성: 줄기세포 치료제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의 성장률이 예상되며, '조인트스템'의 글로벌 경쟁력이 기대되는 상황. 화장품과 음료 사업의 다각화된 수익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
✔️ 위고비(Wegovy)와 관련 테마주
- 위고비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개발한 비만 치료제이며, 주성분으로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를 사용. 주 1회 피하 주사로 투여되며, 식욕 억제와 체중 감소 효과가 뛰어나 비만 치료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약물. 2024년 10월 15일 국내 출시되어 비만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등장
- 위고비 관련 테마주:
- 유비케어: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으로, 자사의 의료·의약품 쇼핑몰 미소몰닷컴을 통해 위고비의 대규모 물량을 확보하여 의료기관에 공급. 위고비의 유통망을 통해 의료기관 지원 및 환자들이 편리하게 처방받을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활용하여 위고비의 접근성을 높이는 역할
- 나노엔텍: 위고비 생산을 맡고 있는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의 OEM 파트너. 나노엔텍은 현장진단 의료기기와 연구기기를 제조·판매하는 기업으로, 위고비와의 연관성으로 인해 투자자 관심을 받는 종목. 위고비 생산이 확대될 경우 실적 성장 가능성 존재
- 한미약품: 위고비의 대체제로 주목받는 경구용 비만 치료제 '오라베리티'를 개발 중. 현재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자리 잡기 위해 연구에 박차를 가하는 중. 위고비의 효과와 더불어 경구용 치료제 수요 증가로 성장 가능성 큼
- 대원제약: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를 생산하는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의 OEM 파트너로 알려진 기업. 현장진단 의료기기와 연구기기 제조·판매를 전문으로 하며, 위고비 생산과의 연계로 인해 위고비 관련 테마주로 주목받고 있음
- 넥스턴바이오: 자회사 로스비보 테라퓨틱스가 노보 노디스크와 당뇨병 치료제 공동 개발과 기술 수출 협약 이력이 있어 위고비와 연관성 존재. 당뇨와 비만 치료제를 포함한 대사 질환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진행, 위고비 테마주로 관심받는 기업
- 펩트론: 비만 치료제와 관련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 중. 비만 및 대사 질환 분야에서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여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