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Study

[25-01-02] 경제/투자 스터디 - 트럼프 수혜 ETF

maron2ee 2025. 1. 2. 23:07

2025.01.02 (THUR)

주요 경제 지표

  • 코스피: 2,398.94p (-0.02%)
  • 코스닥: 686.63p (+1.24%)

주요 원인

  • 코스피 지수의 하락은 미국 기술주의 부진과 외국인의 매도세, 대형주의 부진
  • 삼성전자 소폭 상승, 운송/창고 및 의료/정밀 업종 3%대 상승
  •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가 목요일 신년사에서 정치 및 경제의 불확실성 증가를 언급하며 유연성과 기민함의 필요성을 강조한 후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전망을 평가. 중앙은행은 2009년 이후 처음으로 두 차례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한 뒤 이달 말에 다음 금리 결정을 발표할 예정. 경제 뉴스에서는 한국의 12월 수출이 연말 글로벌 수요의 강세로 6.6% 증가하여 예측을 초과하며 31개월 만에 최고치인 613억 8천만 달러를 기록. 이는 15개월 연속 월간 상승을 기록.
  • 공장 활동은 11월 50.6에서 49로 하락하여 4개월 만에 세 번째 수축을 나타내며 재하락. 지수의 주력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0.6%)와 SK하이닉스(-1.7%)를 포함한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하락을 이끔.

2025년 트럼프 전략 수혜 ETF

 

1. 감세정책 (Tax Cust Policies)

대형 다국적 기업:

  • SPDR S&P 500 ETF (SPY): 미국 대형주 전반을 포함하며, 감세로 인해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는 기업들 포함.
  • Invesco QQQ Trust (QQQ):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 감세로 높은 성장률 유지 가능.

소규모 기업:

  • iShares Russell 2000 ETF (IWM): 미국 중소형주 포함, 감세로 자본 여력이 커지는 중소기업 수혜 예상.
  • Vanguard Small-Cap ETF (VB): 중소형주의 더 넓은 분포를 제공, 내수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 수혜 예상.

 

2. 인프라 개발 (Infrastructure Development)

건축자재:

  • Materials Select Sector SPDR ETF (XLB): 건축 및 원자재 관련 기업 포함.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
  • iShares U.S. Basic Materials ETF (IYM): 건설 프로젝트와 밀접한 기업에 투자.

건설 엔지니어링:

  • iShares U.S. Infrastructure ETF (IFRA): 인프라 프로젝트 관련 기업 포함.
  • Global X U.S. Infrastructure Development ETF (PAVE): 미국 기반 인프라 건설 및 개발 기업 집중.

 

3. 에너지 정책 (Support for Traditional Energy)

전통 에너지 기업:

  • Energy Select Sector SPDR Fund (XLE): 전통 에너지 기업에 집중, 석유 및 가스 관련 대형 기업 포함.
  • Vanguard Energy Index Fund ETF (VDE): 에너지 부문 전반에 투자.
  • SPDR S&P Oil & Gas Exploration & Production ETF (XOP): 중소형 석유 및 가스 탐사 및 생산 기업 포함.
  • iShares U.S. Oil & Gas Exploration & Production ETF (IEO): 석유 및 가스 탐사 기업 중심.

 

4. 무역정책 (Protectionism)

국내 제조업:

  • iShares U.S. Industrials ETF (IYJ): 미국 제조업 및 산업 전반에 투자, 보호주의 정책으로 경쟁력 상승 가능.
  • Vanguard Industrials ETF (VIS): 산업재 부문 전반에 투자, 무역 장벽 강화로 혜택 예상.

 

그 외

SPDR Gold Shares ETF (GLD)

Fidelity Wise Origin Bitcoin Fund ETF

 


2025년 S&P 500 전망

S&P 500 25년 중반까지 7,000 찍고, 연말 하락 예상

 

1. 역사적 데이터

S&P 500 지수가 연속으로 20% 이상 상승 기록 후

그 다음 해 상반기(H1)는 강세

하반기 (H2) 하락 또는 상승폭 줄어듬

 

2. 일론머스크-정부효율성 부서 (DOGE) 가동으로 성장 둔화 우려

정부 예산 연간 2조달러 절감 계획

수입과세부과 정책 

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 미칠 수 있음

 

3. 상,하반기 시장 

'25년 상반기 연준의 금리완화 정책, 기술주 중심 지수 상승

하반기 경제 성장 둔화, 기업이익 감소 등 요인으로 지수 하락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