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Study
[24-12-23] 경제/투자 스터디 - 미국 관세, 물가
maron2ee
2024. 12. 23. 23:59
2024.12.23 (MON)
주요 경제 지표
- KOSPI: 1.6% 상승, 2,442포인트로 마감
주요 원인
- 반도체 및 배터리 주식이 주도. 삼성전자(0.9%), SK하이닉스(0.7%) / LG에너지솔루션(0.4%), 삼성SDI(3.2%) / 조선 - 현대중공업(3.5%), 한국조선해양(8.2%), 삼성중공업(2.8%).
- 지난 금요일 월가의 긍정적인 세션을 추적했으며, 예상보다 낮은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2025년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우려를 완화
- 한국의 생산자 물가는 11월 전년 동기 대비 1.4% 상승, 이전 달 1%에서 증가, 8월 이후 최고 수준 도달.
관세와 연준(Fed)의 통화 정책
- 관세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면 연준은 이를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간주.
- 연준의 대응: 물가가 지나치게 오를 경우 금리를 인상해 인플레이션 억제. 그러나,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은 공급 측 요인에서 발생하므로, 금리 정책만으로 완화하기 어려울 수 있음.
관세 > 물가 > 주가
관세 부과:
- 수입품과 생산 비용 상승 →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압력).
물가 상승:
- 소비 감소, 기업 이익 감소 → 주가 하락.
- 중앙은행(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 증가 → 주식 시장 약세.
추가 요인:
- 무역 긴장과 글로벌 공급망 차질 → 경제 불확실성 증가 → 투자 심리 악화 → 주가 하락.
관세 - 물가 - 주가의 상호작용
요소 | 효과 |
관세 부과 | 수입품 가격 상승 → 생산 비용 증가 → 소비자 물가 상승 |
물가 상승 | 소비 감소 → 기업 매출 감소 → 기업 이익 하락 |
금리 인상 가능성 |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 인상 → 기업 비용 증가, 채권 매력 증가 → 주가 하락 |
무역 긴장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가 → 투자 심리 악화 → 주식 시장 약세 |